카테고리 없음

인트론바이오 사업내용,원재료,판매전략

mosama1 2025. 7. 19. 22:29

인트론바이오 차트 설명

인트론바이오 사업내용

세균 균형 및 제어 역할을 담당하는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하여, 박테리오파지 기반기술과 박테리오파지 유래 엔도리신 (Endolysin) 기반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바이오신약을 개발해 나가고있습니다. 기존의 접근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혁신적인 방법을 고안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해 나가고 있으며,각 분야의 First-in-Class 를 넘어 First-in-Concept 신약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개량형 엔도리신 기술 은 엔도리신의 효능 및 안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엔도리신을 개량 (Engineering) 시키는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해당 기술을 총칭하여 'itLysin Technology (잇트리신 기술)’라고 하며, 이를 세균 관련 감염질환, 특히 항생제 내성균 (슈퍼박테리아) 치료제 개발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박테리오파지 분야에서 축적된 십 수년의 경험과 노하우를 통해 박테리오파지와 인체 내 면역체계 (Immune System) 간의 연관성을 깊이 연구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암질환 (예: Colorectal Cancer, CRC) 및 뇌질환 (예: Parkinson's Disease, PD & Alzheimer's Disease, AD) 은 물론 염증성 질환 (예: Crohn's Disease, CD) 등을 타겟하는 바이오신약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체 분야로의 활용을 고려한 파지옴 (Phageome)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플랫폼 기술을 PHAGERIA® 기술이라고 합니다. 한편, 파지리아 분야에서 적용시킨 사업에는 동물용 항생제대체재 사업이 있습니다. "동물사료 내 항생제 첨가 금지법”이 발효되는 등 전세계적으로 축산, 수산 관련 안전한 먹거리를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모든 먹거리 산업에서 문제가 되는 화학합성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세균의 천적이라 할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박테리오파지 원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사료첨가제 기업에 공급하여 기존 합성항생제를 대체하는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파지러스는 박테리오파지가 세균을 잡아 먹는 (Lysis) 바이러스라는 특성과 기능을 확대 활용하여,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데까지 적용시키고자 합니다. 이와 관련된 플랫폼을 총칭하여 PHAGERUS® 기술이라고 하며, 해당 플랫폼을 통해 박테리오파지 기술을 바이러스와 관련한 질환에까지 확장하여 항바이러스제 및 백신제제를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지리아러스(PHAGERIARUS®)는 박테리오파지와 세균 및 바이러스, 그리고 인체 내 면역시스템간의 관계 규명을 통해 새로운 MoA(Mode of Action)기반 면역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당사는PHAGERIARUS®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면역시스템의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와 같은 인간의 몸 전체의 면역을 조절할 수 있는 면역 치료 신약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DR파트 (분자진단 및 신속항원 (항체) 진단 사업) PCR 및 크로마토그래피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분자진단 기술분야 및 신속항원 (항체)진단 기술분야로 나누어, 각각 감염질환 등의 진단을 위한 진단키트 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당사의 캐쉬카우 (Cash-cow) Biz로서 회사의 현재 수익창출을 담당하고 있는 파트입니다. 2020년 3월 분자진단 키트 생산 관련 GMP 시설을 확장 구축하였고, 2021년 12월에는 당사가 개발한 COVID-19 진단키트가 식약처의 정식허가를 득하였으며, 자동화 핵산 추출장비 및 전용 추출키트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의료기기에 등록되었습니다. 또한, 최근 당사는 식약처로부터 전문가용 코로나19 래피드 진단키트에 대한 품목허가를 획득하고, 폐렴구균을 검출하는 래피드 진단키트를 인체진단시장에 출시하였습니다. 국내외 인증을 기반으로 COVID-19 분자 진단키트를 포함한 인체 진단분야로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아울러, 질병관리청,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농업과학원 등 다수의 국가방역기관 등과 조류독감, 돼지독감, 구제역 등의 동물용 분자진단제를 공동 개발하고 자체 생산하여 국내 및 다양한 국가에 공급해 나가고 있습니다.

원재료 및 생산설비

신약파트의 동물용 항생제대체재 분야의 핵심 원재료는 박테리오파지 자체로서 이는 당사가 직접 개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관련하여 의미를 둘만한 원재료의 수입 및 구매 그리고 이에 따른 원재료 가격변동은 극히 미미한 상황입니다. DR파트의 주요 원재료는 단백질 효소 및 화학물질(chemicals)류라 할 수 있는데, DNA 폴리머레이즈(polymerase) 등 핵심 단백질 효소는 대부분 당사가 직접 개발 생산하고 있고 화학물질류는 주로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입선은 L社, A社 등 미국에서 수입 중으로 가격변동은 크게 없으며, 다만 환율영향에 따라 일부 변동하고 있으나 그 변동폭은 크지 않으며, 주문량 등을 조율하여 환율변동 등에 대처하고 있어 원재료의 가격 변동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당사 제품의 원재료 등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세부 사양과 가격이 상이합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신규 제품을 개발하고 원재료 등을 교체하며 제품을 개선해 가고 있어 원재료의 가격변동 추이를 산출할 만한 자료가 부족하고 거래처 및 경쟁사에 누출될 경우 당사의 사업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원재료 가격변동 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제품 생산에는 고가의 생산설비나 특별한 기계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생산능력을 결정할 때 생산인력이 주요 변수가 되나, 제품 생산인력은 제품 생산 이외에 진단제품 인ㆍ허가와 관련된 각종 실험지원 및 서류작성 등의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연간 가동가능일은 휴일(공휴일 포함)을 제외하고 244일입니다. 1일 평균가동시간을 8시간으로 할 경우 총 가동가능시간은1,952시간이 됩니다. 생산능력은 “근무인원수 x 근무일수 x 인당 1일 생산가능량 ”의 방법으로 산출하고 있으며, 생산인력의 경우 공정라인별로 상황에 따라 인적배분을 실시하여 생산량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생산능력은 DR파트의 경우, 연간 960,000 Kit 라 할 수 있으며, 신약파트의 동물용 항생제대체재는 2012년초 파지센터 구축을 계기로 생산능력이 향상되었고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생산능력은 연간 384 kg으로서 관련사에 공급하는 사료첨가제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3,840 ton에 해당되는 생산량입니다.

판매방법 및 조건

신약파트는 다양한 파이프라인과 플랫폼 기술에 기반하여 기술 판매에 기반한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동물용 항생제대체재 분야는 동물 사료 첨가제 생산업체에 박테리오파지 원제 형태로 전량 공급하고 원제를 사료첨가제로 생산하여 최종적으로 국내의 주요 사료업체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판매대금의 결제는 주로 현금결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DR파트의 인체 진단 분야는 다양한 기업들과 공동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자체 영업망을 활용하여 확대할 계획에 있고, 동물 진단 분야는 주된 고객이 농림축산검역본부, 고령지농업연구소, 국립농업과학원 등 국가기관인 관계로 당사가 직접 영업을 통해 공급 중에 있으며, 판매대금의 결제는 주로 국가연구비 카드결제와 일부 기업체의 현금결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담당 영업사원을 통한 직접영업은 물론, 각 지방 대리점 및 iNtRON 心 협력업체를 통해 대학(연구소), 국가기관, 기업체 등에 판매하고 있는 등 직접영업 및 간접영업 형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현재 해외수출은 60개국 40개 대리점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수출되고 있는 상황으로, 해외수출비중을 늘리고자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의 판매대금 결제는 주로 국가연구비 카드결제와 일부 기업체의 현금결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파이프라인과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다국적 제약사를 대상으로 기술 수출 (Licensing-out)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동물용 항생제대체재 분야는 당 분야 관련 협력사를 통해 각 국가별 품목등록과 판매를 간접적으로 지원해 나가고 있습니다.DR파트는 기존 동물분야 위주의 판매방식에서 인체 진단 분야의 판매로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판매해 나가고 있으며, 당사의 전략사업부 조직을 통한 직접 영업과 함께, 국내 및 해외의 협력업체를 통한 판매전략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